리스트 표현식
리스트 표현식( 리스트 컴프리헨션 / list comprehension) 사용하기[식 for 변수 in 리스트]list(식 for 변수 in 리스트)>>> a = [i for i in range(10)] # 0부터 9까지 숫자를 생성하여 리스트 생성>>> a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>>> b = list(i for i in range(10)) # 0부터 9까지 숫자를 생성하여 리스트 생성>>> b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리스트 표현식의 동작 순서 >>> c = [i + 5 for i in range(10)] # 0부터 9까지 숫자를 생성하면서 값에 5를 더하여 리스트 생성>>> c[5, 6, 7, 8, 9, 10, 11..
2023. 10. 9.
리스트의 가장 작은 수, 가장 큰 수, 합계 구하기
22.4 리스트의 가장 작은 수, 가장 큰 수, 합계 구하기 이번에는 리스트(튜플)에 저장된 값 중에서 가장 작은 수, 가장 큰 수, 요소의 합계 구해보겠습니다. 22.4.1 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 구하기 먼저 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는 어떻게 구할까요? 앞에서 반복문을 배웠으니 요소를 모두 반복하면서 숫자를 찾아내 보겠습니다. >>> a = [38, 21, 53, 62, 19] >>> smallest = a[0] >>> for i in a: ... if i >> smallest 19 먼저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소 a[0]를 변수 smallest에 저장합니다. 그리고 for로 리스트의 요소를 모두 반복하면서 i가 smallest보다 ..
2023. 10. 9.
for 반복문 / while 반복문 / 무한Loop /break, continue
숫자를 감소시키기>>> for i in range(10, 0, -1): # 10에서 1까지 1씩 감소... print('Hello, world!', i)...Hello, world! 10Hello, world! 9Hello, world! 8... (생략)Hello, world! 2Hello, world! 1 증가폭을 음수로 지정하는 방법 말고도 reversed를 사용하면 숫자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을 수 있습니다.for 변수 in reversed(range(횟수))for 변수 in reversed(range(시작, 끝))for 변수 in reversed(range(시작, 끝, 증가폭))>>> for i in reversed(range(10)): # range에 reversed를 사용하여 ..
2023. 10. 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