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데이터 입력받기
a,b=map(int,input("두개의 정수를 입력하시요:").split())
print(a+b)
두개의 정수를 입력하시요:10 20
30
# split함수
split(['기준문자열']) : 기준문자열 미지정 시 공백을 기준으로 split한다.
# 입력받은 값을 콤마를 기준으로 분리
a, b = map(int, input('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').split(','))
print(a + b)
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10,20
30
# map함수, filter함수 : map객체, filter객체를 생성
- map(적용시킬함수, 대상 iterator)
- filter(적용시킬함수, 대상 iterator)
target = [1, 2, 3, 4, 5]
result = map(lambda x : x+1, target)
print(list(result))
[2, 3, 4, 5, 6]
target =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result = filter(lambda x : x%2==0, target)
print(list(result))
[2, 4, 6, 8, 10]
2. 표준 출력
print함수
>>> help(print)
Help on built-in function print in module builtins:
print(...)
print(value, ..., sep=' ', end='\n', file=sys.stdout, flush=False)
Prints the values to a stream, or to sys.stdout by default.
Optional keyword arguments:
file: a file-like object (stream); defaults to the current sys.stdout.
sep: string inserted between values, default a space.
end: string appended after the last value, default a newline.
flush: whether to forcibly flush the stream.
스트림을 강제적으로 flush할지를 지정할때는 flush를 기술합니다.(기본값 : False)
[ 예 ] print함수를 이용한 파일로 출력하기
>>> with open("test1.txt","w") as f:
... print("hello,world!",file=f)
... f.close()
3. 형식에 맞추어 출력
- 이전 방식 : "%를 이용한 출력형식"%(데이터....)
- 출력형식에 형식화된 문자열을 넣어 출력의 모양을 변경하는것입니다.
- "%형식문자"로 지정하면 % 뒤의 출력 대상들이 1:1로 대응되어 출력됩니다.
- %s : 문자열, %d : 정수, %f : 실수 등이 있습니다.
- 예 1) %03d : 정수를 3칸에 맞추어 출력하는데 앞의 빈칸은 0으로 채움.
- 예 2) %6.2f : 실수를 전체 6칸 소수이하 2칸에 맞추어 출력.
- 파이썬(Python) 3 포맷팅 방식 : "{}를 이용한 출력형식".format(데이터...)
- 출력형식에 형식화된 문자열을 넣어 출력의 모양을 변경하는것입니다.
- "{}" 지정하면 format에 기술한 출력 대상들이 대응되어 출력됩니다.
- "{n}"안에 숫자를 지정하여 출력 대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- 함수의 인자처럼 키워드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-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번 출력할 수 있습니다.
- 예) '나의 이름은 "{0}"입니다. 나이는 {1}세이고 성별은 {2}입니다.'.format('홍길동',33,'남성')
{ [인덱스] : [채움문자] [정렬] [부호] [#] [0] [길이] [,|_] [.소숫점] [형식문자] }
- 채움문자 : 공백을 채움문자로 채워줍니다.
- align(정렬) : < (왼쪽정렬, 문자열 기본값),
> (오른쪽 정렬, 숫자 기본값),
^ (가운데정렬)
= (숫자에만 사용, '+000000120'형식으로 필드를 인쇄하는 데 사용) - 부호 : "+" | "-" | ""
- digit+ grouping_option
- grouping_option
, : 천단위 마다 콤마를 붙여줍니다.
_ : 천단위 마다 밑줄을 붙여줍니다.
- 형식문자: 문자열(s), 정수(b, c, d, o, x, X, n), 실수(e, E, f, F, g, G, n) .
표준 형식 지정자의 일반적인 형식 은 다음과 같습니다.
format_spec :: = [[ fill] align] [ sign] [#] [0] [ width] [ grouping_option] [. precision] [ type]
fill :: = <모든 문자>
align :: = "<"| ">"| "="| "^"
sign :: = "+"| "-"| ""
width :: = digit+ grouping_option :: = "_"| ","
precision :: = digit+
type :: = "b"| "c"| "d"| "e"| "E"| "f"| "F"| "g"| "G"| "n"| "o"| "s"| "x"| "X"
댓글